전략기획/산업 및 뉴스분석

중동 전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쉽게 이해하기

w1ll 2025. 6. 16. 12:08

AP연합뉴스

1. 상황 요약: 무슨 일이 일어났나?

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시설과 군사시설을 대규모로 공격하면서 중동 지역에 전쟁 위기가 고조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이란의 주요 가스전과 석유 저장소까지 공격했고, 이란은 이에 맞서 이스라엘 도시들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습니다. 이 충돌로 인해 전 세계 경제, 특히 한국 경제에 큰 충격파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2. 왜 중동 전쟁이 한국에 중요한가?

한국의 에너지 의존도

한국은 에너지의 94%를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입니다. 특히 중동 지역에서 원유의 70%, 액화천연가스(LNG)의 30% 이상을 수입하고 있어 중동 상황에 매우 취약합니다.

호르무즈 해협의 중요성

한국이 사용하는 석유의 80%(하루 250만 배럴)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해 들어옵니다. 이 해협은 폭이 39km에 불과하지만 **전 세계 석유 수송량의 20%**가 지나가는 핵심 통로입니다.

3. 국제 유가 급등과 그 의미

즉각적인 유가 상승

중동 전쟁 발발 직후 국제유가가 급등했습니다:

  • 서부텍사스산원유(WTI): 7.3% 상승, 배럴당 72.98달러
  • 브렌트유: 7.0% 상승, 배럴당 74.23달러

향후 전망

만약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면 국제유가가 배럴당 90-13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한국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휘발유 가격 상승

국내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1,700원을 돌파했습니다. 서울 지역은 이미 1,772원을 기록하며, 국제유가 변동이 2-3주 후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

유가 상승은 다음과 같은 경로로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 운송비 증가 → 모든 상품 가격 상승
  • 전기·가스요금 상승 → 생활비 증가
  • 제조업 생산비 증가 → 기업 수익성 악화

5.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Stagnation)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1970년대 석유파동 때 전 세계가 경험했던 최악의 경제 상황입니다.

한국의 위험 요소

  • 현재 한국의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이 0.8%로 이미 낮은 상황
  • 유가 급등으로 물가상승률이 최대 4.98%까지 오를 가능성
  • 경기 둔화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할 위험

6. 산업별 영향 전망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업종

국제유가 10% 상승 시 산업별 원가상승률:

  • 정유산업: 23.5%
  • 전력·가스산업: 20.2%
  • 운송업: 5.0%
  • 철강업: 5.3%
  • 화학업: 4.8%

2차 파급효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들의 비용 상승은 자동차, 건설, 선박 등 다른 제조업으로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7. 가계에 미치는 영향

생활비 증가

  • 연료비: 휘발유, 경유 가격 상승으로 직접적 부담 증가
  • 전기·가스요금: 에너지 가격 상승이 공공요금으로 전이
  • 식료품: 운송비 증가로 모든 생필품 가격 상승
  • 실질소득 감소: 물가 상승으로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이 줄어듦

8. 결론: 앞으로의 전망

중동 전쟁의 장기화는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위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구조적 취약성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상황입니다.

특히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같은 극단적 상황이 발생하면, 1970년대 석유파동과 유사한 스태그플레이션이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부와 기업, 그리고 개인 모두가 에너지 가격 상승에 대비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