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재무회계

기업가치 평가(EV) = EBITDA + 멀티플

w1ll 2025. 6. 18. 13:43

EBITDA와 멀티플을 활용한 기업 가치 평가 쉽게 이해하기

에비따 한눈에 보기

1. 기업 가치 평가, 왜 필요할까요?

기업 가치 평가가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사실 기업 분석에서 기업 가치 평가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에요. 기업 가치 평가는 회사의 가치를 파악하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어요.

2. EBITDA,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

EBITDA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EBITDA는 회사의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예요.
EBITDA는 영어 약자로 Interest(이자), Tax(세금), Depreciation(감가상각), Amortization(무형자산상각비)를 차감하기 전 이익을 의미해요.
'삼각전 영업이익'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EBITDA를 더 쉽게 이해하려면 손익계산서 구조를 보면 좋아요.


매출액 상품/서비스 판매 총액
(-) 판매 관리비 (판관비) 판매 및 관리 활동 비용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포함)
(=) 영업 이익 영업 활동으로 얻은 이익
(-) 이자 비용 돈 빌린 대가로 내는 이자
(=) 세전 이익 세금 내기 전 이익
(-) 세금 (Tax) 국가에 내는 세금
(=) 당기 순이익 최종적으로 남은 이익
 

EBITDA는 영업 이익에서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를 빼기 전 이익이에요.
실무에서는 영업 이익에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더해서 구해요.

EBITDA는 회사의 **영업 현금 흐름(OCF)**의 대용치로 사용되는데, 왜 그럴까요?
원래 현금 흐름표상의 OCF는 이해하고 계산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에요.
EBITDA는 1980년대, 현금 흐름표가 나오기 전에 영업 현금 흐름을 간략히 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에요.
OCF보다 쉽게 계산하고 이해할 수 있어서 지금도 많이 사용돼요.

3. 멀티플, 기업 가치를 결정하는 기준

멀티플은 기업 가치를 결정하는 기준이 돼요. 마치 부동산 가격을 매기는 것과 비슷하죠.
멀티플은 영업 현금 흐름 1원당 얼마의 가치를 부여할까 하는 기준점이에요.

예를 들어, 1년에 260억 원의 영업 이익(또는 EBITDA)을 버는 회사가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만약 이 회사에 멀티플 10배를 적용하면 기업 가치는 2,600억 원이 돼요.
하지만 똑같이 260억 원을 벌어도 멀티플 5배를 적용하면 기업 가치는 1,300억 원이 되는 거예요.
이처럼 멀티플 적용에 따라 기업 가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이건 마치 똑같은 평수의 아파트라도 위치에 따라 가격이 다른 것과 같아요.
반포 아파트 1평이 2억인데 서울 일반 지역의 1평이 1억이라면, 위치에 따라 가격이 두 배 차이 나는 거잖아요.
기업도 마찬가지예요.
똑같이 260억을 벌어도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면 멀티플을 높게 쳐주고, 사양 산업에 속해 있다면 멀티플을 낮게 적용해요.

4. 멀티플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멀티플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돼요.

  • 산업: 어떤 산업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멀티플이 크게 달라져요. F&B, K-뷰티, AI, 바이오 등 산업별 특성이 반영돼요.
  • 인수 이후 성장성: 회사가 앞으로 얼마나 더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이 멀티플에 영향을 줘요.
  • 인수자: 누가 회사를 인수하느냐에 따라 멀티플도 달라질 수 있어요.
    • 재무적 투자자(FI): 몇 년 안에 매각해서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예요. 그래서 **전략적 투자자(SI)**보다 멀티플을 작게 적용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 전략적 투자자(SI): 브랜드를 영속적으로 보유할 목적으로 인수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적정 가격이나 다소 높은 가격으로 인수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 동종업계 매각 사례: 같은 산업 내에서 이미 매각된 회사가 있다면, 멀티플 산정의 강력한 기준점이 돼요.
  • 상장사 멀티플: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유사 기업의 멀티플도 중요한 참고자료예요.
멀티플 결정요소 설명 예시
산업 회사가 속한 산업 특성 F&B, K-뷰티, AI, 바이오 등
인수 이후 성장성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 전망이 좋으면 멀티플 상승
인수자 (FI vs SI) 재무적 투자자 vs 전략적 투자자 SI가 일반적으로 더 후하게 쳐줌
동종업계 매각 사례 유사 기업의 실제 매각 사례 기준점이 명확해져 멀티플 받기 수월
상장사 멀티플 동종업계 상장 기업의 멀티플 명확하고 공개된 기준
 

5. 실제 사례로 보는 EBITDA 멀티플 적용

F&B 기업들의 실제 매각 사례를 통해 EBITDA 멀티플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볼게요.

기업매각 멀티플(EBITDA 배수) 비고
공차 12.6배 한국 F&B M&A 중 높은 멀티플
노랑통닭 10.5배 알려진 치킨 프랜차이즈
역전할머니 맥주 6.5배 대중적 브랜드
컴포즈 커피 8배 실제 기업 분석 사례
 

이처럼 같은 산업 내에서도 기업별로 다양한 멀티플이 적용되는 걸 알 수 있어요.
이는 앞서 설명한 산업 특성, 성장성, 인수자, 매각 사례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예요.

6. EBITDA와 멀티플을 활용한 기업 가치 평가, 이제 어렵지 않아요!

지금까지 기업 가치 평가의 중요한 지표인 EBITDA멀티플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EBITDA는 회사의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고, 멀티플은 그 현금 창출 능력에 얼마의 가치를 부여할지 결정하는 기준이에요.
이 두 가지 개념을 이해하면 기업 가치 평가의 첫걸음을 쉽게 내딛을 수 있어요.
기업 가치 평가, 이제 더 이상 어렵게만 느껴지지 않으시죠?

'취미 >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산운용사 필수 요약 노트(w.패스코드)  (0) 2025.07.02